본문 바로가기
주은총이야기-서막

주은총목사/ God’s perspective, not mine.

by 주은총목사 2025. 5. 12.

https://youtu.be/7a1gM5jx5hM?si=Iai8Wvq0FU4BVPQy

 

꿈이있는교회/ 주은총목사

God’s perspective, not mine.

Hallelujah!

This is a spiritual walk with Grace Ju.

When I was young, I did not receive love and care from my parents. However, fortunately, the Lord became my friend since I was young.

 

God became my miracle. When I was 14, He made me meet my mother and made my father a pastor. I was so poor and had no money, and I spent two years in a motel room, but God made me establish a church in room 203.

 

God’s hand was truly great. After such incredible, God drove me into the wilderness again

 

“Wilderness life” means being in a lonely and harsh environment with no one to rely on and no one to help you. Strangely enough, during this wilderness life, people around us often act like wild beasts. In a word, even people close to us are like beasts, able to eat and they go crazy.

 

In this wilderness, God trains us to be strong like the king of birds, the eagle. And finally, He wants us to fly freely in the blue sky like an eagle and spread our wings of dreams.

 

David welcomed King Saul as his <father-in-law>. Perhaps, David remembered the prophecy from Samuel when he was a boy, “You will be the king of Israel,” and was moved to think, “Wow, this is truly God’s guidance. I am the king’s son-in-law.”

 

But what a sudden bolt from the blue. David was driven out of the palace by King Saul. His father-in-law, King Saul, was not a “helper” in David’s life, but an enemy who constantly harassed David. David was driven into the wilderness by those closest to him.

 

I am the same. My heart was filled with the “calling” that God had called me to. Furthermore, since my mother was on the path of ministry, I thought, “I will walk this path more easily.” But, what the heck. As if a bowl had fallen on the floor and broken, those thoughts were shattered and broken.

 

I am over forty years old, but I have no children. Unable to give me a grandchild, a wall was created between me and my mother. Taking advantage of that gap, the cousin approached my mother. He then gave his grandson to my mother. And the series of events that followed may make you think, ‘How could this be?’ Because I poured out my difficult feelings from my perspective.

 

Think of Jacob. The land that God promised to give to Jacob was ‘Canaan.’ However, Jacob settled down not in Canaan, but far away, in his uncle Laban’s house with his four wives and children. Then, God brought trials into Jacob’s life. The expression on Laban’s face was different from before. Jacob began to move toward the place God had given him because of their cruel treatment. Sometimes, crises that suddenly come to life become the energy that moves us. I, too, moved toward the place of my mission because of these hardships. Towards the Canaan that God had given me.

 

Refining a piece of writing is like creating a sculpture. Cutting and cutting again.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work, I discovered how much I was full of contradictions and how many wounds remained that were not revealed on the outside. How much I had made God’s heart suffer because I did not understand Him. My rough edges were also smoothed out. With deep repentance.

 

Just as the forsythia that had been sleeping for a long time in the cold winter blooms in the warm spring air, ah! my soul is excited and anticipates the work of God. I guess spring has come to me too. I want someone to go outside with me and fully enjoy the warmth of spring. Will you join me?

<Grow old with me

The best has not yet appeared.

The end of life,

It was made for the beginning.

Trust God!

See everything!

Have a dream!

Do not be afraid! >

 

Let's sing praises together

Lord, I Lift Your Name On High

 

When I entered seminary, one of my concerns was which book to read to beautifully manage the ‘garden of the soul.’ As someone who loved books so much, the fame of the famous evangelist ‘Francis Schaeffer’ was not unfamiliar to me. Just as many people hold Calvin or Wesley in high regard. Then one day, when I happened to come across the figure of ‘Francis Schaeffer’ in a book, I felt a bit of human compassion.

 

It was because I felt a sense of kinship with Dr. Schaeffer, ‘there was a time when he experienced discord in his relationship with his children.’

 

Among Pastor Ok Han-Heum’s books, there is a book called “What’s Different About a Family That Believes in Jesus?” When this book was published, Pastor Ok Han-Heum’s child also rebutted, saying, “My father is not qualified to publish a book like this.” I know the pain that a pastor’s child must feel when he has to say something like that to his father. It’s because he always sees his parents busy with their ministry and thinks that his father has been taken away by the church.

 

However, his son also decided to write about “Father Ok Han-Heum” after reading “Crazy for God” written by Frank Schaeffer, the son of Francis Schaeffer. Frank Schaeffer, the son of Francis Schaeffer, wrote about his father after pondering “what to do for his father who was suffering from lymphoma in his later years. In his book “Crazy for God,” he honestly talks about the resentment he had toward his father. His parents, like any other parent, had high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They constantly expected the ‘best’ from their children, and such parents became a burden to their children. Finally, Shaffer’s son, who was the closest to them but not known to others, watched his parents like that and at one point turned away from his parents’ faith. But how can we say that this is someone else’s problem? I have also seen many cases of parents turning away from their faith, especially among the children of church elders.

 

There was a woman. She always put the brakes on her husband when he tried to be enthusiastic about church work. Since his wife did not practice her faith properly, it was very difficult for the man to maintain his faith on his own. This almost led to a divorce. Eventually, the husband also began to have difficulty keeping the Sabbath. He gradually became less frequent at church, and every night, he started running to the table tennis court to soothe his wounded heart through exercise.

 

But why did the man’s wife block his church work like that? It was because of her mother. Her mother was overly devoted to church work, but indifferent to taking care of her family. Under the pretext of religious life, the mother left deep scars on the hearts of the father and children. The father eventually passed away due to severe conflict with the mother.

 

In her heart, the lump that her mother’s faith killed her father took root. The wounds she received from her mother’s indifference and the thoughts about her poor father followed her like a dark shadow. This shadow darkened her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Especially when her husband showed enthusiasm for church work, it would manifest as severe seizures.

 

Then, at the pastor’s recommendation, she met her mother and for the first time revealed her inner feelings that she had never told her before. For the first time, her mother was able to understand the pain of her daughter who was exploding with anger. The mother and daughter held each other and cried endlessly.

 

Only then did the daughter begin to appreciate the love of her mother who had prayed for her. She slowly began to admit, “I am here today because of my mother’s prayers.” Then, she felt herself being ‘liberated’ from something that had been weighing on her heart.

 

Now, let’s go back to Frank’s story. Francis Schaeffer discovered that his son had artistic talent and wanted him to start drawing again, but the son did not follow his parents’ wishes. And then he broke his parents’ hearts. Pastor Ok Han-heum also said that he wanted his son to become a pastor while he was alive, but he always felt regretful that he did not follow his wishes. However, Frank Schaeffer started drawing again for his father who was about to die. And then he filled his father’s hospital room with his drawings.

 

When I started this book, I developed the story using conflict as the subject. I, too, was hurt by those close to me, and many thoughts came and went in my head because of that. Why did these things happen to me? And I used writing to organize those fragments of thoughts. Now, I am going to take off my mask and begin a journey to find myself.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me is to look at the ‘problem’ from God’s perspective.

 

Lord, please let me look at the problem from God’s perspective, not mine.

Let's sing praises together

10,000 Reasons (Bless the Lord)

할렐루야!

Grace Ju와 함께 하는 영성산책입니다.

 

나는 어렸을 때, 부모의 사랑과 보살핌을 받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다행히도 주님은, 어린 시절부터 나에게 친구가 되어주셨다.

 

하나님은 나의 기적이 되어 주셨다. 내 나이 14살에 어머니를 만나게 하시고, 아버지가 목사님이 되게 하셨다. 너무나 가난하여, 돈이 없는 처지에, 여관방에서 2년을 보냈지만, 하나님은 그 여관방 203호에 교회를 개척하게 하시고, 또 하나의 기적을 이루셨다. 아마, 대한민국 그 어디를 찾아봐도, 여관방에 교회를 개척한 교회는 없을 것이다. 감자탕교회, 깡통교회는 들어봤어도, 가진 것이 없어 여관방에 교회를 세웠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았는가?

 

하나님의 손길은 정말 위대하였다. 여관방 203호에 세운 교회를 살아남게 하시고, 나를 주의 길로 갈 수 있게끔 친히 배려하셨다. 그런 엄청나고 꿈같은 일들이 단 번에 펼쳐지게 하시더니, 하나님은 나를 또 다시 광야로 몰아넣으시고, 돌아오게 하셨다. 이 책은, 바로 여관방 203에 세워진 교회와 또 나에게 주신 광야생활에 관한 것을 주제로 하였다.

 

일생을 살면서 우리가 통과해야만 하는 것이 바로 광야이다. “광야생활이라는 것은 아무 의지할 데도 없고 도와주는 사람도 없어 쓸쓸하고 거친 환경에 처해지는 것을 말한다. 이 광야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이상하게도, 주위 사람들이 들짐승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한마디로, 가까운 사람들조차 짐승처럼 못 뜯어 먹어 안달이고, 잡아먹지 못해 환장이다.

 

바로, 이 광야에서 하나님은 우리를, 새 중의 왕, 독수리처럼 강하게 훈련시키시는 것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그 분은 우리가 독수리처럼 푸른 하늘을 마음껏 날아다니며, 꿈의 나래를 펼치기를 원하신다.

 

다윗은 사울 왕을 <장인>으로 맞이하였다. 어쩌면, 다윗은 소년시절, 사무엘에 의해 너는 이스라엘의 왕이 되리라라는 예언을 기억하고, “, 이것이야 말로 하나님의 인도이구나. 내가 왕의 사위가 되다니.”하고 감격했을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게 웬 날벼락일까? 다윗은 사울 왕에 의해, 궁궐에서 쫓겨났다. 장인 사울 왕은, 다윗의 인생에서 조력자가 된 것이 아니라, 원수가 되어 끊임없이 다윗을 괴롭혔다. 가장 가까운 이들에 의해, 다윗은 광야로 내 몰렸던 것이다.

 

나 역시 마찬가지이다. 내 마음속엔, 하나님이 내게 부르신 소명그것으로 온통 가득 찼었다. 더군다나, 어머니가 목회의 길을 걷기에 나는, ‘좀 더 수월하게 이 길을 걸어가겠지하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이게 웬걸. 마치, 그릇이 바닥에 떨어져 깨지듯, 그러한 생각들이 와장창하고 깨져버렸다.

 

나는 마흔 줄이 넘었지만, 자식이 없다. 손자를 안겨드리지 못한 나는, 어머니와의 사이에 벽이 생기었다. 그 틈을 비집고, 사촌이 어머니에게 다가왔다. 그리고는 어머니에게 손자를 안겨드렸다. 그리고 그 후에 벌어지는 일련의 일들은, ‘어쩌면 이럴 수가 있어?’ 라는 선입견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나의 시각으로 그 힘든 마음을 토해냈으니까.

 

야곱을 생각해본다. 야곱에게 주시기로 하나님이 맹세한 땅은 가나안이다. 하지만, 야곱은 가나안이 아니라, 저 멀리, 삼촌 라반의 집에서 4명의 아내와 자식들과 안주하게 된다. 그러자, 하나님은 야곱의 인생에 시련이 오게 하셨다. 야곱을 바라보는 낯빛이 예전과 같지 않았던 것이다. 야곱은 이렇게 그들의 박대로 인하여 하나님이 주신 자리로 움직이기 시작하였다. 인생에 갑작스레 찾아오는 위기들이 때로는 이렇게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 에너지가 되기도 한다. 나 역시, 이러한 고난으로 인하여 내가 있어야할 사명의 자리로 나아갔다. 하나님이 내게 주신 가나안을 향하여.

 

글을 다듬는 다는 것은 마치 조각 작품을 만드는 것과 같다. 깎고 또 깎고. 작품이 만들어져 가는 과정 속에, 나는 발견하였다. 내가 얼마나 모순투성이고, 겉으로 들어나지 않은 상처가 남아 있는지. 그 분을 이해하지 못하고 얼마나 하나님의 마음을 힘들게 했는지. 나의 모난 부분도 다듬어져 갔다. 깊은 회개와 함께.

 

추운 겨울에 오랫동안 잠들어 있던 개나리가 따뜻한 봄기운을 느끼며 피듯, ! 내 영혼이 하나님의 하실 일들을 기대하며, 가슴이 띈다. 내게도 어느 새 봄이 왔는가 보다. 누군가 함께 밖으로 나가, 봄날의 따뜻함을 마음껏 만끽하고 싶다. 같이 동행해 주실래요?

 

<나와 함께 나이를 먹자

가장 좋은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인생의 끝, 그것은

처음을 위하여 만들어졌다.

하나님을 신뢰하라!

전부를 보라!

꿈을 가지라!

두려워 말라! >

 

찬양을 들려 드립니다.

Lord, I Lift Your Name On High

 

신학교에 들어와서, 고민중의 하나가 바로, 어떠한 책을 읽어 영혼의 정원을 아름답게 잘 관리할 것 인가하는 거였다. 그래서 평소에 목사님들이 권해주시는 추천도서는 내게 큰 자산이었다. 가난한 신학생임에도 불구하고, 끼니를 아껴가면서까지 가장 많은 재정을 쏟아 부은 것이 바로 이었다. 책이 그렇게 내게 있어 보물 1나 다름없는 소중한 자산임에도 불구하고, 이사 다닐 적마다 크게 애를 먹인 것 역시 이었다. 좁디좁은 방에 다 놓을 수 없는 책들은 늘 처분될 곳을 찾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혼에 귀한 깨달음을 주는 책들은 이사를 다니어도 처분되지 않고 항상 그 자리에 남아 있었다. 그렇게 책을 좋아하는 내게 프랜시스 쉐퍼라는 유명한 복음주의자의 명성은 내게 결코 낯선 것이 아니었다. 마치, 많은 이들이 칼빈이나 웨슬리를 대단히 여기듯이.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책에서 접했던 프랜시스 쉐퍼의 모습은 다소 인간적인 연민이 느껴졌다. 쉐퍼 박사 역시, ‘자식과의 관계에 있어서 불화를 겪은 한 때가 있었구나.’ 라는 동질감 때문이다.

 

옥한흠 목사님의 저서 가운데, <예수 믿는 가정 무엇이 다른가?>라는 책이 있는데, 이 책이 출판 되자, 옥한흠 목사님의 자녀 역시 아버지는 이런 책을 내실 자격이 없다하고 반박하였다는 글을 어느 잡지에서 읽어 본적이 있다. 나는, 목회자인 자녀가 아버지에게 그렇게 이야기 할 수밖에 없는 고통을 잘 알고 있다. 늘 목회로 바쁜 부모를 보며, 아버지를 교회에 빼앗겼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분의 아들 역시, 프랜시스 세퍼의 아들 프랭크 쉐퍼가 쓴 <Crazy for God>를 읽고 아버지 옥한흠에 관하여 글을 쓰기로 마음을 먹는다.

 

프랜시스 쉐퍼의 아들 프랭크 쉐퍼는 말년에 림프암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아버지를 위해 무엇을 할까?’를 고민하다가, 아버지에 대한 글을 적었다. 그는 <크레이지 포 갓crazy for God>이라는 책에서, 아버지에게 가졌던 서운한 감정까지도 솔직히 이야기를 한다. 그의 부모 역시, 어느 부모 못지않게 자녀들을 향한 기대가 컸다. 자녀들에게 끊임없이 최고를 기대하였고, 그런 부모의 모습은 자녀에게 부담으로 다가왔다. 마침내, 남들은 몰랐지만 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던 쉐퍼의 아들은 부모의 그런 모습을 지켜보며, 한 때 부모의 신앙에게 멀어졌다. 그런데 어찌 이걸 남의 일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나 역시, 교회에서 특히 중직자의 자녀들에게서 부모의 신앙을 떠난 모습을 많이 보았다.

 

어느 여자가 있었다. 그녀는 늘 신랑이 교회 일에 열심을 내려 하면 꼭 제동을 걸어왔다. 아내가 신앙생활을 제대로 안하니, 남자 혼자서 신앙생활을 지탱하기가 여간 힘든 것이 아니었다. 하마터면 이 일로 인해 이혼할 지경까지 이르렀다. 급기야, 남편 역시 주일성수 조차 지키기 어려워지기 시작했다. 점점 교회에 발길이 뜸해지더니, 밤마다 운동으로 상처받은 마음을 달래려 탁구장으로 달려가기 시작했다.

 

그런데, 왜 그 남자의 아내가 그렇게 교회 일을 막았을까? 그것은 바로, 그녀의 어머니 때문이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교회일 엔 지나치게 헌신적이었지만 가정을 돌보는 일에는 무관심했다. 어머니는 신앙생활이라는 미명 아래 아버지와 자녀들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겨 주었다. 아버지는 어머니와의 심한 갈등으로 인해 결국 세상을 뜨고 말았다.

 

그녀의 마음속엔 어머니의 신앙이 아버지를 죽였다는 응어리가 자리를 잡았다. 어머니의 무관심으로부터 받은 상처와 불쌍한 아버지에 대한 생각이 어두운 그림자가 되어 그녀를 따라다녔다. 이 그림자는 남편과의 관계를 어둡게 했다. 특히 남편이 교회 일에 열성을 보일 때는 심한 발작으로 나타나곤 했다.

 

그런 그녀가 목사님의 권유로 어머니를 만나 지금껏 한 번도 말하지 않았던 자신의 속내를 처음으로 내보였다. 그녀의 어머니는 울분을 터뜨리고 있는 딸의 아픔을 처음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모녀는 서로 부여잡고 한없이 울었다.

 

딸도 그제야 자신을 위해 기도했던 어머니의 사랑을 헤아리기 시작하였다. ‘어머니의 기도 때문에 내가 지금까지 있었구나.’ 하며 서서히 인정하기 시작 하였다. 그러자, 그녀는 지금까지 자신의 가슴을 짓눌러 오던 무언가로 부터 해방되는 것을 느끼었다.

 

다시, 프랭크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프랜시스 쉐퍼는 아들에게, 미술적 재능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림을 다시 그리길 원했지만, 아들은 부모의 뜻을 따르지 않았다. 그리고는 부모의 마음을 아프게 하였다. 옥한흠 목사님 역시 살아생전, 아들이 목회의 길을 가게 되길 원했지만, 그것을 따라주지 않는 것에 늘 아쉬움을 가졌다고 한다. 그러나 프랭크 쉐퍼는 임종을 앞두고 있는 아버지를 위해 다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다. 그리고는 아버지의 병실을 그림들로 채워둔다.

 

나는 이 책을 시작하는데 있어, 갈등을 소재로 하여 이야기를 전개하였다. 나 역시 가까운 이들에게 상처를 받았고, 그로 인하여 머릿속에서는 많은 생각들이 오고 갔다. , 이러한 일들이 내게 일어났을까? 그리고 그 생각의 단편들을 정리하는 데 있어 글이라는 것을 이용하였다. 나는 지금 가면을 벗은 채, 나 자신을 찾는 여행을 시작하려 한다. 그러한 나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다보는 것이다.

 

주님, 나의 시각이 아니라 하나님의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다 보게 하소서.

찬양을 들려 드립니다.

10,000 Reasons (Bless the L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