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은총이야기-서막

주은총목사/ Wilderness, why are you here?

주은총목사 2025. 6. 28. 11:12

https://youtu.be/XeM9l5fwqdw?si=-a7UY5HMQNaCdA6H

주은총목사/ 꿈이있는교회

 

Wilderness, why are you here?

 

Hallelujah!

 

This is a spiritual walk with Grace Ju.

Two voices

 

The Spirit of God

pushed me into the wilderness.

 

I thought,

What kind of place is this in the world?

 

My mind was confused.

The road that seemed endless

I was tired of it.

I had no strength left to endure it any longer.

 

At that moment, two voices spoke to me.

 

“Are you hungry?

 

Do something bad? Then you will eat and live.

Is life hard?

Just jump down from a high place.

I told you you won’t die.

Now, don’t do that, surrender to me.

 

Live however you want.

I will save you.”

 

Then another voice spoke. “Haven’t you read the Bible?

It’s not bread, but the Word of God that you live by.

You will surely have the final victory.

At the end of this ordeal,

An angel will attend you.”

 

At that moment,

I held on to the voice of God without hesitation.

Because, He is my father.

A woman’s story

 

This is the story of a woman named ‘Mary Cush.’ When the Great Depression came to America, her husband was barely making ends meet. Even then, he suffered from constant illnesses, big and small, and there were many times when he couldn’t even receive that income. The rent was three months behind, and Mary made a living by sewing for other people’s houses and working as a maid. With five children, she was always stressed out and worried about financial issues.

 

One day, the landlord came to pick up her son and scolded him for stealing something. The boy cried in humiliation. That boy was the most honest of all children. At that moment, Mary couldn’t bear it anymore. The stress that had been building up exploded in an instant. There was no hope for the future. It felt like blood was rushing to my head.

 

I took my five-year-old daughter into her room and tightly sealed the gaps in the room with paper and cloth. My daughter asked, “Mom, what are you doing?” “Yeah, the cold wind is coming in here...” Then I turned on the gas stove. I laid my child down on the bed. When my child asked, “You woke up a little while ago and you’re sleeping again,” I said, “It’s okay! Let’s take a nap.”

 

I heard the sound of gas leaking. I slowly fell into a deep sleep while smelling the gas, but suddenly I heard music. When I listened closely, I realized that I hadn’t turned off the radio in the kitchen.

“Our Savior, who takes our burden of sins, is such a good friend. Let’s cast our heavy burdens of worry and concern on our Lord.”

 

As I listened to the hymn, tears flowed uncontrollably.

‘I’m doing such a foolish thing. I thought, ‘I’m doing something terrible to my child.’ ‘I tried to fight this whole fight by myself. I didn’t think to leave it to the Lord and pray.’ She got up, turned off the gas, opened the door, and rolled up the window.

 

And she cried and prayed all afternoon that day. After crying and praying for a long time, she was filled with gratitude that she had a kind husband and five healthy, kind children. There were many difficult times after that, but she remembered the time when she turned on the gas and got up and walked every day.

 

After that, Mary raised all five children well. Now, in her old age, she has thirteen grandchildren, and her family all serve the Lord with great joy.

 

Mary is not the only one. The wilderness is what we must go through as we live our lives. “Wilderness life” means being in a lonely and harsh environment with no one to rely on and no one to help us. Strangely enough, during this wilderness life, people around us often act like wild beasts. In short, even those close to me are like animals, so I can’t eat them, and I’m going crazy because I can’t eat them.

 

Why are you here, wilderness?

 

When I was repeatedly ‘disastered’ by those close to me, I was shocked. I wondered if there was such a land in the world. A place where people cannot live, a place abandoned and inhabited only by wild animals, a place where people cannot find a place to rest, that barren wilderness spread out before my eyes like a panorama.

 

When a woman started pioneering alone, all sorts of things happened. One day, I was sleeping, and although I usually wake up at 4 a.m., I woke up earlier than usual that day. That’s because I felt a chill. As expected, I saw a man shaking the window of my room, trying to break in. I can’t tell you how surprised I was. I prayed, ‘Lord, give me courage,’ and suddenly turned on the light in the room and shouted.

 

“Hey, you punk. Where the hell do you think you are!”

 

Then, I saw the man running away in a hurry in shock. My shock didn’t subside until the few believers who came that day at 5 o’clock to attend the dawn service. I prayed and cried for an hour. Then the Lord came to me and said,

 

“Grace, the evil one cannot touch you.”

 

He gave me the words from 1 John 5.

 

“He who was born of God keeps him, and the evil one cannot touch him.”

 

(1 John 5:18)

 

Although God gave me words of comfort, my shock didn’t subside easily. So after that day, I slept with a club by my bedside for nearly two years. This wasn’t the only thing. There was a man who came out of prison, drank soju, and tried to break down the church door, and a male stalker who harassed me to the point of being terribly harassing me. There were many shocking things until one male believer came to church.

 

Since God said to me, “I will discipline you,” the wilderness has been a topic of meditation in my life for a long time. I am even thinking about including a “wilderness school lecture” when I lead a Bible group at church later.

 

It’s not just me. At this very moment, you, who are reading this book, may also be passing through a “wilderness” that is harder than death.

 

When I talk about the wilderness, a woman suddenly comes to mind. This woman was married and had four sons. However, her husband started a separate household early on, so she had to overcome the pain of tears. To support her children, she did odd jobs and worked at a bathhouse. She also sold carts and sometimes did manual labor. She did everything for her children. But that wasn’t enough, so she had to send one of her sons to a mental hospital. How much mental anguish must she have felt? This woman, who was passing the wilderness in tears and sighs, got into a car accident while riding her bike home after work. How badly I was injured, my buttocks were torn off, and I had to have grafts here and there on the damaged areas. I was lucky that I was alive.

 

Why does God keep pushing us so cruelly into the ‘wilderness’? Why does God make us suffer so much because of material things, because of physical illness, and because of human relationships in the wilderness of poverty, the wilderness of illness, and the wilderness where it is too much?

 

Passing through the wilderness (Hezwill)

 

What is your heart like

 

What God caused me to do was like suddenly getting slapped in the face by a stranger while walking down the street. It was so absurd. Before I knew it, the fire of the Holy Spirit had weakened in the church. The series of events that occurred between my cousin and my mother seemed like a nightmare. I cried endlessly as I walked through the streets. I couldn’t stop the tears from flowing down my face. It was a day I will never forget in my life. The first day it happened, I couldn’t sleep. I wanted to light a coal briquette and die like a certain celebrity. Do you think, “I’m the only exception” when you see me wandering around like this? Do you think, “I won’t do this”? Absolutely not. When faced with a crisis, everyone tends to deviate from the norm and become “abnormal”. In a word, they become impulsive and extreme. Their “logic” disappears and they become completely “illogical” people. That’s why, when dealing with someone who is in crisis, if you treat them as the normal person you knew before, problems can arise. This is because their ability to respond normally has been weakened or lost due to the crisis. That’s why a single word from someone close to them can be a great strength or a great wound. It’s a word that is said casually and lightly, but it carries a weight of a thousand pounds to someone who is at a crossroads in life.

 

After shedding tears that day, I said to the Lord,

“Lord, I’m leaving now. Up until this day, I’ve suffered like this. It’s too hard.”

 

When I was thinking about leaving Jeonju, I started to worry about where I should go without any money saved. ‘Yes, I should go to a prayer center.’ While thinking about which prayer center to go to, I also started to think about what I should eat to live. Then I started to cry to God.

 

“Lord, what should I do now?”

 

Then the Lord said,

“Daughter, do you think I can’t feed you? Just as I showed Jonah the gourd vine, I will show you one certainty that I am responsible for your life.”

 

God appeared to me that night and spoke to me the very next day. I will never forget that day. It was as if I was dreaming, and amazing things were happening. It was smooth. That day, I met a CEO. But, amazing things happened that I can’t express in words.

 

His lifelong wish was to build a temple and dedicate it to God. However, according to this person, for some reason, he was busy building the temple in the summer as if he was being chased by something. He said that some powerful force was leading him. Then, when he actually went to the site, he saw that a really beautiful new temple was just being built, midway between Pyeongtaek and Anseong. The coffee shop that was built as a church facility was pretty, and the residence was also beautiful.

 

However, the president suddenly said something surprising to me.

 

“Pastor, you take charge of this church. I will give you an apartment and a car. The moment I saw you, I realized that you were the person I was looking for. This church belongs to you.”

 

Then he added, “My husband and I have an only daughter who grew up abroad and doesn’t seem like she’ll live in Korea. My husband and I are lonely, so I’ll treat you like family.”

 

Ah, is this a dream or reality? Something like a dream happened overnight. I couldn’t believe that this was real. He said, “I’ll give you my bed and all my home appliances, so just come with me.” I was happy. I didn’t want to leave Jeonju, the land that only gave me pain and tears. I didn’t want to leave Jeonju and never look back. However, I could only move if God gave me permission. I went to the place of prayer to God.

 

“Lord, speak. Your servant is listening.”

 

But the strange thing was that the more I prayed, the more I held onto one thing in my heart. Although it wasn’t much, the faces of the sheep who had prayed for my shame and suffered with me came to mind every night. My heart ached. They were precious sheep for whom I wouldn’t mind giving my life. My crown, which had the most beautiful faith of all. I couldn’t shake them off and run away alone. The president and his wife kept calling me on my phone. More than 10 calls. I couldn’t answer them at all.

 

Finally, after making a decision, I prepared 200,000 won as a thank-you offering, even though I was in a desperate situation, and went to see the president. In fact, one thing became stronger because of this.

 

“Oh, really, God never abandons me no matter what happens.” I still have the ‘golden business card’ that he gave me. Just like the Israelites kept ‘Aaron’s staff that sprouted’ in the Ark of the Covenant. I also kept that business card. Looking at it, I always thought of God’s promise.

 

At that time, he was the president of a company that manufactured and supplied parts for fire trucks. I took a taxi and went to see him. However, the president was out at a business partner and wasn’t there. So I left the thank-you offering and a letter in the security office.

 

I gave thanks and applauded while worshiping God. I praised God for not holding on to flesh and blood and for allowing me to rely solely on God. The most popular hymns at that time were “What is the hope of this body?” and “When I see people and the world,” and the gospel song “Only the Lord.”

 

“You who have shown us many and severe troubles, you will revive us and bring us up again from the depths of the earth.” (Psalm 71:20)

 

What was the purpose of God making me walk through this difficult wilderness? He said it was to “know what is in your heart, whether you keep his commands or not.” (Deuteronomy 8:2) In fact, there is no one who lives life without pain and worries. Everyone experiences pain without exception.

 

We live with physical pain, mental pain, economic pain, and various other pains, but the problem is not “what kind of pain you experience,” but “how you react when you experience pain.” In other words, whether you react positively or negatively.

 

When suffering, if you blame God or complain to others and become frustrated with your circumstances, you become a ‘disabled person.’ Suffering is not bad, but negative reactions to suffering are bad. However, if you digest suffering well and react positively, you will experience miracles. Rather, it becomes an opportunity for blessing.

 

“‘It is good for me that I was afflicted, that I might learn your decrees.”

 

(Psalm 119:71)

 

Humble you and let you go hungry

 

As I went through the wilderness, I became a person of prayer even more. I prayed for 4 to 7 hours a day. If I didn’t pray, I felt empty and lonely even when I slept. In the winter, I couldn’t even heat the room, and I had to endure the winter with just an electric blanket. Sometimes, I didn’t even have kimchi, so I learned the value of kimchi. Poverty was also a source of gratitude, and poverty was also a source of gratitude. Because, in order to survive, they desperately sought the Lord every moment. In this way, the wilderness is the land where those who pray live. The greatest inspiration that the wilderness gives us is the inspiration of prayer. Anyone who stands in the wilderness cannot help but pray. Anyone who stands in the wilderness cannot help but pray like Jacob, and cannot help but pray the desperate prayer of the Jabbok River. This is because the wilderness is a land of lack, a land of poverty and hunger.

 

Israel also learned humility when they suffered from famine. Israel did not suffer such suffering in Goshen or Canaan, but had to suffer from famine in the wilderness. No matter how hard they searched for food in the scorching wilderness, they could not find it. They fell into a state of mental despair and poverty increased. However, such a situation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m to experience God’s miracle. They came to seek God because they were humbled.

 

Suddenly, I remembered the story of a male believer. This man also experienced God’s help through the difficulties he faced.

 

This man work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was always immersed in worldly pleasures. He was known as a big-hearted and generous person in society, but he was not affectionate to his wife. But what was this? His second child was born to him, and he was deformed, with a brain tumor and no functioning eyes or ears. He loved his child, but he stopped breathing just four months after birth. In the midst of despair, the church deacons held his wife and prayed earnestly in the name of Jesus, and the child who had stopped breathing began to breathe again. He thought, ‘Wow, this is amazing,’ but he was half-believing and half-doubting. After that, his wife attended church diligently, believing that God would heal her son, but he reluctantly only served as a chauffeur. One day, he parked his car outside the church and waited, but no matter how long he waited, his wife did not come out. He was so angry that he went into the church with the intention of confronting his wife. But without realizing it, he began to receive grace from the pastor’s sermon. Oh, that’s strange. Why is his heart so warm? That was the motivation for him to enter the path of faith. After that, his child was healed by the hand of the Lord.

 

As he gradually received grace, strangely, business became uninteresting. Hospitality, playing cards, and the taste of alcohol were not at all like before. So he closed his business and prayed to God to open a new path. Then, God opened the way for him to open a factory that made furniture. When he started the factory, he went to the factory every morning and declared as he had learned from the pastor.

 

‘In the name of Jesus, the factory will run well and orders will come in from all over the world.’

 

Now, that prayer has borne fruit and orders are pouring in, traveling all over the world. Of course, there were many hardships in between. He was defrauded by someone he trusted and went bankrupt, but when he forgave everything and entrusted it to God and prayed, they even brought him orders.

 

Last summer, a flood covered the factory and the machines were flooded. If the water had risen just a little more, everything he had built up until then would have gone up in smoke in an instant, and it was literally a moment of crisis. However, an unknown gratitude and peace came to his heart, and praise flowed from his lips. He prayed in gratitude, “in the name of Jesus,” and prayed for the water to stop. Then, a miracle truly happened. The machine no longer filled with water.

 

This amazing experience was his because the experiences he had while living a life of faith had become his assets. Thinking about the grace that God had bestowed upon him, he made this confession of faith.

 

“I am grateful for the material blessings, but I am even more grateful that my wife and I became friends in faith during the tribulation. I was given the position of choir director by God’s grace. My hope is now in the kingdom of God. I want to fulfill my assigned position well and be praised as a faithful servant on that day.”

 

I hope that you will have the grace to seek God as you walk the path of the wilderness and are humbled. Indeed, as the hymn says, “There is much evidence that I believe in Jesus, Jesus.” I hope that this testimony will be in your life. In fact, these days, it is common to see that laymen have more theological knowledge than pastors in the past. However, their experience is weak. This is their weakness. We should acknowledge this weakness and pray to God, but instead, they emphasize the danger of experiential faith and even claim that it is unnecessary. However, look at the European churches, especially the German churches, that emphasize knowledge. A believer who has not experienced the living God in his life can never win the spiritual battle. Without experiential faith, it is easy to leave the church even when faced with a slight trial. Christianity is not a theory. It is an experiential faith. Without experience, you cannot believe and have no confidence.

 

In the end, he wants to bless you.

 

Someone gave this testimony. “I thought my husband was mine. I thought he was mine, so I said no when he wanted to go as a missionary. I thought my husband was someone who worked hard and served by my side. I never thanked God for giving me a good husband. I used to complain about my husband’s incompetence and personality compared to other husbands. Now that my husband has passed away, I have realized that my husband is not mine but God’s. I now know what my husband saved. Just as patients take their limbs for granted and do not know how precious they are until they lose them, I realized how precious they are only after my husband goes to the kingdom of God.”

 

That’s right. Everything we have, our health, our position, our status, and our money, are all given by God. If God takes them away, they are nothing. Unfortunately, Saul did not have the same difficult trials as David, so he did not know how precious the ‘king’s seat’ was. He did not know which was more precious: being recognized by people or being recognized by God. That’s why he was abandoned by God and suffered from depression.

 

He lived a miserable life, finally ending his life by suicide.

 

On the other hand, David was extremely unfortunate by worldly standards. David had to leave his loved ones and even his family behind and set off on his journey. He had no idea where to go, and he had to start his life as a fugitive, without even being able to pack enough food for the day. David set out on the path to becoming king with nothing.

 

The countless schemes of Saul, the betrayals of people, the hard and difficult times, and the moments of crisis that seemed impossible to escape from made David strong. David’s life was made up of nothing but tear-soaked bread, and moments of tension and tension. And through that period of harsh training and discipline, he grew into the ‘David’ we know.

 

Finally, the blessings that David received were so great that no one in history could match them. While listening to the sermon of Pastor Jeong Pil-do of Busan Suyeongro Church, he said this. “David, he is the richest man in history.” Whether it is true or not, he received such great grace. I personally feel how great David’s blessings were. David gave over ‘1 trillion’ in offerings to God. It’s not 100 million. It’s not 10 billion. It’s ‘1 trillion.’ I decide to give ‘50,000 won’ every Sunday. Oh my. What kind of grace is this for David? Furthermore, what kind of workers does David have? According to Chronicles, David had 4,000 gatekeepers. Since a woman was the only one pioneering, all kinds of strange people came and caused trouble. I really wish I had a church leader. That’s not all. According to the Bible, David had over 20,000 people in charge of church administration. Some pastors alone are not enough for church temples, church visits, administration, and evangelism.

 

“Of these, twenty-four thousand are those who take care of the work of the house of the Lord; six thousand are officials and judges; four thousand are gatekeepers; and four thousand are those who sing praises to the Lord with the instruments he made.” (1 Chronicles 23:4-5)

 

Does God favor David like this? Absolutely not. God said that it is not His intention to make people suffer and worry (Lamentations 3:23). Then why does God make us hungry and humble us like this? The reason is that God wants to bless us.

 

“He fed you in the wilderness with manna, which your fathers did not know, in order to humble you and to test you, in order to do you good in the end.” (Deut. 8:16)

 

In Deuteronomy 8, God tells us how beautiful the blessing He will give us is, the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It is a beautiful land, a land with valleys, mountains, streams, fountains, and springs, a land rich in all kinds of fruits and abundant in all kinds of resources, a land that lacks nothing. However, God’s concern is revealed there. He is worried that “when you become prosperous, your hearts will become proud and you will forget the Lord” (v. 14), and that “I have acquired this wealth by my own power” (v. 17). So Moses says that he made them spend 40 years in the wilderness in order to create a people who are thankful and praise God in a good land, a beautiful land, and an abundant land with no lack.

 

Indeed, those who have ‘eaten bread with tears’ know the preciousness of life. When they become poor, they come to think again about how precious things that they used to just pass by are. They come to understand the feelings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because they cannot properly heat their homes in the winter, and they look back on the hard work of the cleaning lady who cleans on cold days. Every little thing comes as a precious grace. It is wrong to not suffer and only hope for blessings. When we stand alone and face trials, let us not forget that this is a gift given to us. The 40 years in the wilderness are a precious time of training for us. It is a precious time of learning to learn humility, receive strong training for a life of devotion as Christians, and train ourselves to hold on to God alone. Israel was strong because they suffered much, and Israel was strong because they went through more trials than others. Let us not forget that in this gift of trials lies God’s love, God’s wisdom, and God’s power toward us. The suffering we are going through now is incomparable to the glory we will receive in the future. Lord, please help me to become accustomed to living completely by the Word of God as I pass through the wilderness. I pray in the name of Jesus. Amen.

 

광야, 너 대체 왜 있는 거야?

두 가지 음성

 

하나님의 영은

나를 광야로 몰아넣었습니다.

 

세상천지에

무슨 이런 데가 다 있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은 혼란스러웠습니다.

가도 가도 끝도 보이지 않는 길

이젠 지겹습니다.

더 이상 버틸 힘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때, 내면에 두 가지 음성이 들려왔습니다.

너 배고프지?

나쁜 짓 좀 해봐? 그래야지, 너도 먹고 살지.

사는 게 고달프지?

높은 데서 그냥 뛰어내려.

안 죽는다니까.

이제, 그러지 말고, 나한테 항복해라.

네 마음대로 살아봐.

내가 살려줄게.”

 

그러자, 또 다른 음성이 말했습니다.

성경도 못 읽었니?

떡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사는 거란다.

너는 반드시, 최후 승리를 할 거란다.

이 시련의 끝에는

천사가 너를 수종을 든단다.”

 

그 순간, 나는

주저 없이, 하나님의 음성을 붙잡았습니다.

왜냐하면, 그 분은 나의 아버지니까요.

어떤 여자의 이야기

 

메리 쿠쉬라는 여자의 이야기이다. 미국에 경제 대 공황이 찾아왔을 때 남편은 입에 풀칠도 하기 어려울 정도의 급여를 받았다. 그나마도 크고 작은 질병이 끊이지 않아 그 수입마저도 받지 못할 때가 많았다. 집세는 세 달치나 밀려 있고, 메리는 남의 집 삯바느질과 파출부를 하며 연명했다. 아이가 다섯이나 되는데 경제적인 문제로 늘 스트레스를 받고 걱정과 염려가 끊이지 않았다.

 

하루는 집주인이 아들을 붙들고 와서는 아이가 물건을 훔쳤다고 야단을 쳤다. 아이는 모욕감에 울고만 있었다. 그 아이는 누구보다 정직한 아이였다. 그 순간 메리는 더 참을 수 없었다. 그동안 쌓여 왔던 스트레스가 한 순간에 폭발해 버리고 말았다. 미래에 희망이라고는 눈곱만큼도 보이지 않았다. 머리에서 피가 거꾸로 솟는 것 같았다.

 

다섯 살짜리 막내딸을 데리고 방으로 들어가, 종이와 천으로 방의 빈틈을 꼭꼭 틀어막았다. 딸이 물었다. “엄마, 뭐하는 거야?” “, 여기로 찬바람이 들어와서...”그리고 가스난로의 가스를 틀었다. 아이를 데리고 침대에 누웠다. 아이가 조금 전에 일어났는데 또 자하고 묻자 괜찮아! 낮잠이나 자자하고 했다.

 

가스가 새는 소리가 났다. 가스 냄새를 맡으며 서서히 깊은 잠에 빠져드는데 갑자기 음악 소리가 들렸다. 귀를 기울여 들어보니 부엌에 라디오를 끄지 않았던 것이다.

죄 짐 맡은 우리 구주 어찌 좋은 친군지. 걱정 근심 무거운 짐 우리 주께 맡기세.”

 

찬송을 듣는데 눈물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마구 흘렀다.

내가 정말 바보 같은 짓을 하고 있구나. 아이에게도 끔찍한 짓을 하고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 모든 싸움을 나 혼자 싸우려고 했다. 주님께 맡기고 기도해 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녀는 벌떡 일어나 가스를 끄고 문을 열고 창문을 들어올렸다.

 

그리고 그날 오후 내내 울면서 기도를 하였다. 한참 울면서 기도하다 보니 내게는 심성이 착한 남편이 있고, 건강하고 착한 아이가 다섯 명이 있다는 것에 감사가 터져 나왔다. 그 뒤로도 어려운 일은 많이 있었지만 그 때 가스를 틀었던 때를 기억하며, 매일 다시 일어나 걸어갔다.

 

그 후, 메리는 다섯 자녀를 모두 훌륭하게 길러냈다. 지금은 노년에 손자가 열세 명이나 되고 가족은 모두 큰 기쁨 중에 주를 섬기는 사람들이 되었다.

 

메리뿐만이 아니다. 일생을 살면서 우리가 통과해야만 하는 것이 바로 광야이다. “광야생활이라는 것은 아무 의지할 데도 없고 도와주는 사람도 없어 쓸쓸하고 거친 환경에 처해지는 것을 말한다. 이 광야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이상하게도, 주위 사람들이 들짐승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한마디로, 가까운 사람들도 짐승처럼 못 뜯어 먹어 안달이고, 잡아먹지 못해 환장이다.

 

광야, 너 대체 왜 있는 거야?

 

가까운 이들에 의해서 연이어 환난을 당했을 때, 나는 커다란 충격을 받았다. 세상에 이런 땅도 있었나 싶었다. 사람으로서는 살 수 없는 곳, 버림받아 오직 들짐승만 사는 곳, 사람이 쉴 만한 데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곳, 그 척박한 광야가 눈앞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지고 있었다.

 

여자혼자 개척을 시작하니, 별별 일이 다 일어났다. 하루는 잠을 자는데, 보통 새벽 4시가 되면 일어나는데, 그 날은 보통 때 보다, 더 일찍 잠이 깨었다. 왜냐하면 서늘한 기운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내 방의 창문을 흔들면서 어떤 남자가 침입하려는 것이 보였다. 얼마나 놀랬는지, 모른다. 순간적으로 주님, 내게 용기를 주소서라고 기도하며, 방의 불을 갑자기 키면서, 큰 소리를 질렀다.

 

, 이 새끼야. 여기가 어디라고 감히!”

 

그러자, 그 남자가 놀라서 황급히 후다닥 도망가는 것이 보였다. 그날 몇 안 되는 성도들이 새벽예배를 드리기 위해 5시에 오기까지 놀란 마음이 진정되지를 않았다. 1시간동안 울면서 기도를 한참 하였다. 그때 주님이 다가와 내게 말씀하였다.

 

은총아, 악한 자가 너를 건들지도 못하리라.”

하시면서 요한 15장 말씀을 주시었습니다.

 

하나님께로부터 나신 자가 그를 지키시매 악한 자가 그를 만지지도 못하느니라.”

(요한 1518절 말씀)

 

하나님께서 내게 위로의 말씀을 주셨지만, 놀란 마음이 쉽게 가라앉지를 않았다. 그래서 그 날 이후로, 잠을 잘 적에, 2년 가까이 머리맡에 몽둥이를 두고 잠을 잤다. 이 일뿐만이 아니다. 구치소에서 나와 소주를 먹고 교회 문을 부수려고 행패를 부리는 사람, 지독할 정도로 괴롭히는 남자스토커. 교회에 남자성도 하나가 오기까지 기가 막힌 일이 많았다.

 

이렇게 하나님께서 내게 내가 너를 연단하리라하고 말씀하신 뒤로 실로 오랫동안 광야는 내 인생의 묵상 주제였다. 나중에 교회에서 성경 그룹을 인도할 때, “광야학교강좌를 넣을까 하는 생각도 하고 있다.

 

나 뿐 만이 아니다. 지금 이 순간에, 이 책을 읽고 있는 당신도, 어쩌면 죽기보다 힘든 광야를 지나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광야이야기를 하니 문득 한 여자가 떠오른다. 이 여자는 결혼하여 아들만 넷을 두었다. 그런데 남편이 일찍부터 딴 살림을 차리는 바람에 눈물의 고개를 넘어야 했다. 자식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 막일도 하고, 목욕탕에서 일을 하기도 했다. 리어카 행상도 하고, 때로는 막노동까지 했다. 자식들을 위해서 안 해본일이 없을 정도였다. 그런데 그것도 부족해서 한 아들을 정신병원으로 보내야 했다. 그러니 얼마나 마음고생이 심했을까? 눈물과 한숨 속에서 고개를 넘어가던 이 분이 일을 마치고 자전거로 집에 돌아오는 길에 그만 교통사고를 당했다. 얼마나 심하게 다쳤는지, 엉덩이 살을 뜯어서, 여기 저기 사고 부위에 이식수술까지 하였다. 그나마 산 게 다행이었다.

 

왜 이렇게 하나님은 우리를 모질게 자꾸만 광야로 몰아넣으시는 걸까? 왜 하나님은 가난의 광야, 병마의 광야, 해도 해도 너무한 광야에서 이렇게 지긋지긋하게, 물질 때문에 고통당하고, 몸이 아파서 고통당하고, 인간관계 때문에 고통당하게 하는 것일까?

 

광야를 지나며(히즈윌)

네 마음이 어떠한지

 

하나님이 내게 당하게 하신 이 일은, 갑자기 길거리를 걷다 낯선 이에게 뺨을 맞은 느낌이었다. 참 황당했다. 교회에는 어느 새, 성령의 불이 약해져 갔다. 사촌과 어머니사이의 벌어지는 일련의 일들은, 마치 악몽을 꾸는 것은 아닌가 싶었다. 천변을 걸으면서 하염없이 울었다. 도무지 흘러내리는 눈물을 막을 수가 없었다. 평생에 잊혀 지지 않은 날이었다. 일이 일어난 첫 날에는 잠을 못 이루었다. 어느 연예인이 그랬던 것처럼 연탄가스라도 피워 놓고 죽고 싶었다. 이렇게 방황하는 나의 이런 모습을 보고, ‘나만은 예외일 거야라고 생각이 드는가? ‘나는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을 거야하고 생각하는가? 천만의 말씀이다. 사람은 누구나 위기를 만나면 정상에서 벗어나 이상 성격이 되는 경향이 있다. 한 마디로, 충동적이고 극단적이 되는 것이다. ‘논리는 어디가고, 전혀 비논리적인 사람으로 변한다. 그래서 위기를 만난 사람을 대할 때 이전에 알고 있던 정상인으로서 그를 대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위기로 인해서 정상적인 반응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약화되었거나 상실해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까운 사람들의 말 한 마디는, 큰 힘이 될 수도 있고, 큰 상처가 될 수도 있다. 무심코 가볍게 내뱉는 말이지만, 인생의 기로에서 서 있는 사람에게는 천근만근의 무게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날 그렇게 눈물이 바다를 이룬 후에, 주님께 말했다.

주님, 나 이제 떠날래요. 이 날 이때까지, 이렇게 고생만 죽도록 했는데. 너무 힘들어요.”

 

막상 전주를 떠날 생각을 하니, 모아둔 돈 하나 없이, 어디로 가야 하나?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래, 기도원으로 가야지’, 어느 기도원으로 갈까? 생각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무엇을 먹고 살아야 하지? 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하나님께 울기 시작했다.

 

주님, 저 이제 어떻게 하면 좋아요?”

그러자, 주님이 말씀 하셨다.

딸아, 내가 너 하나를 못 먹여 살릴 것 같니? 요나에게 박 넝쿨을 보여 주듯, 내가 너의 인생을 책임진다는 한 가지 확신을 보여 주리라

 

하나님이 그 날 밤에 나타나셔서, 말씀한 바로 그 다음날이 되었다. , 이 날을 평생 잊지를 못할 것이다. 마치, 꿈꾸는 것처럼 신기한 일이 진행되는 거였다. 술술. 난 그 날, 한 사장님을 만나게 되었다. 그런데, 말로 뭐라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신기한 일들이 일어났다.

그 분의 평생의 소원은 성전을 지어 하나님께 바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분 말씀에 의하면 웬일 인지, 여름에 뭔가 쫓기듯 바쁘게 움직이면서 성전건축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무언가 강력한 힘이 자기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실제로 그 현장을 가보니, 평택과 안성 중간 지점에, 정말 아름다운 새 성전이 이제 막 지어져 가고 있었다. 교회부대시설로 만든 커피숍도 예뻤고, 사택도 아름다웠다.

 

그런데, 사장님이 갑자기 놀라운 말씀을 내게 하시는 것이었다.

목사님, 목사님이 이 교회를 맡아하십시오. 아파트와 차도 드리겠습니다. 목사님을 뵙는 순간 제가 찾던 분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이 교회는 목사님 것입니다.”

 

그러면서 이런 말을 덧붙였다.

우리 부부에게는 외동 딸 하나가 있는데, 외국에서 자라 한국에서는 살 것 같지 않습니다. 저희 부부도 적적한데, 목사님을 가족처럼 여기겠습니다.”

 

, 이것이 꿈인가, 생시인가. 정말 하룻밤 사이에 꿈같은 일이 일어났다. 이것이 현실이란 것이 믿어지지가 않았다. 침대도, 가전가구도 다 드려 놓을 테니, 세상에나, 몸만 오라고 하시는 것이었다. 기뻤다. 더 이상 상처받는 땅, 내게 아픔과 눈물만 주었던 전주가 싫었다. 전주를 떠나 다시는 이곳을 돌아보기가 싫었다. 하지만, 하나님의 허락이 떨어져야 움직일 수 있었다. 나는 하나님께 기도의 자리로 나아갔다.

 

주님, 말씀 하옵소서. 종이 듣겠나이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기도하면 할수록 내 마음을 붙잡는 것이 하나있었다. 얼마 되지 않지만, 나의 수치를 위해 기도해주고, 같이 고생했던 양들의 얼굴이 밤마다 떠올랐다. 마음이 괴로웠다. 생명을 줘도 아깝지 않은 귀한 양들이었다. 누구보다 신앙이 아름다웠던 나의 면류관. 그들을 뿌리치고 홀로 도망치듯 갈 수가 없었다. 핸드폰에서는 계속해서 사장님부부의 전화가 걸려왔다. 10통도 넘게. 도무지 받을 수가 없었다.

 

마침내, 결단을 내린 후, 궁핍한 처지이었지만, 감사헌금 20만원을 준비해가지고, 사장님을 찾아갔다. 사실, 이 일로 인하여 한 가지 견고해진 것이 있었다.

 

, 정말, 하나님은 무슨 일이 있어도 나를 버리지 않는구나.”라는 확신이 생긴 것이었다. 나는, 지금도 그 분이 건네 준 황금색 명함을 가지고 있다. 마치 이스라엘 백성들이 법궤에다 아론의 싹 난 지팡이를 보관하듯이. 나도, 그 명함을 보관하였다. 그것을 보며, 하나님의 약속을 늘 생각하였다.

 

당시, 그분은 소방차에 들어가는 부품들을 제조해서 납품하는 업체를 운영하는 사장님이셨다. 택시를 타고, 그 분을 찾아갔다. 하지만, 사장님은 거래처에 가고, 자리에 없었다. 그래서 수위실에다 감사헌금과 편지를 남겨놓고 나왔다.

 

나는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면서, 감사의 박수를 올려드렸다. 혈육을 붙잡지 아니하고, 온전히 하나님만 의지하게 하신 하나님을 찬양하였다. 그때 가장 많이 부른 찬양은 이 몸의 소망 무엔가라는 곡과 사람을 보며, 세상을 볼 때”, “주님만이라는 복음성가였다.

 

우리에게 많고 심한 고난을 보이신 주께서 우리를 다시 살리시며 땅 깊은 곳에서 다시 이끌어 올리시리이다.” (시편 7120)

 

하나님이 내게 이 험난한 광야를 걷게 하신 목적이 무엇일까? 그것은 네 마음이 어떠한지 그 명령을 지키는지 아니 지키는지알려 한다고 하였다. (82) 사실, 인생을 살아가는데 고통과 근심거리가 없는 사람은 없다. 고통은 누구나 예외 없이 당하는 것이다.

 

육체적인 고통, 정신적인 고통, 경제적인 고통, 여러 가지 고통을 당하면서 살아가게 되는 데 문제는 어떤 고통을 당하느냐가 아니라 고통을 당할 때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하는 것이다. 즉 긍정적으로 반응하느냐, 부정적으로 반응하느냐 하는 것이다.

 

고통을 당할 때, 하나님을 원망하거나, 남들에게 불평하면서 환경에 좌절하면, 그는 폐인이 되는 것이다. 고통이 나쁜 것이 아니라 그 고통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이 나쁜 것이다. 그러나 고통을 당할 때 잘 소화시키며 긍정적인 반응을 하게 되면 기적이 나타나는 것을 체험하게 되게 된다. 오히려 축복의 기회가 되는 것이다.

 

“‘고난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 이로 인하여 내가 주의 율례를 배우게 되었나이다.”

(119:71)

 

 

너를 낮추시고 너로 주리게 하시며

 

나는 광야를 거치면서, 더욱더 기도의 사람이 되었다. 하루에 4시간에서 7시간 이상씩 기도하였다. 기도하지 않으면, 잠을 잘 적에도 공허하고 외로웠다. 겨울에는 난방도 하지 못하고, 전기장판 하나로 겨울을 견디어 냈고, 때론 김치도 없어, 김치의 소중함도 알았다. 궁핍도 감사요, 가난도 감사였다. 왜냐하면, 살아남기 위해, 주님을 매순간마다 간절히 찾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광야는 기도하는 자가 사는 땅이다. 광야가 우리에게 주는 감동 중의 가장 큰 것은 기도의 감동이다. 누구나 광야에 서면 기도할 수밖에 없다. 누구나 야곱처럼 광야에 서면 외로운 돌베개 기도를 드릴 수밖에 없고 얍복강의 처절한 기도를 드릴 수밖에 없다. 광야는 결핍의 땅이요, 가난과 굶주림의 땅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역시 기근을 당했을 때 겸손을 배웠다. 이스라엘은 고센이나 가나안에서 그러한 고통을 당한 것이 아니라 광야에서 기근을 겪어야만 했다. 태양이 작열한 광야에서 아무리 먹을 것을 찾아도 찾을 도리가 없다. 정신적인 절망 상태에 빠지고 궁핍은 도를 더했다. 그러나 그런 상황이 그들에게는 하나님의 기적을 체험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들이 낮아짐으로 인해 하나님을 찾게 된 것이다.

 

문득, 한 남자성도의 이야기가 생각이 난다. 이 사람 역시, 자신에게 닥친 어려움을 통하여, 하나님의 도우심을 체험하였다.

 

이 남자는 건설업에 종사하여, 늘 세상의 즐거움에 흠뻑 취해 살았다. 사회생활에서는 통이 크고 호방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었지만, 정작 자신의 아내에게는 다정하지 못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일까? 그에게, 둘째아이가 태어났는데, 뇌종양에다 눈과 귀의 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기형아였던 것이다. 그래도 자신의 아이라 사랑스러웠는데, 세상에나 태어난 지 4 개월 만에 숨이 멈춘 것이다. 그 절망 가운데 교회 집사님들이 아내를 붙들고 예수 이름으로 간절히 기도하자 숨이 멈추었던 아이가 호흡이 돌아오는 것이었다. ‘, 신기한 일이다.’생각하면서도, 반신반의한 그였다.

 

그 후 아내는 하나님께서 아들을 고쳐 주리라는 믿음으로 교회에 열심히 출석했지만, 그는 마지못해 차량봉사만 해주었다. 그러던 어느 날, 교회 밖에 차를 세워놓고 기다리고 있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아내가 나오지를 않았다. 화가 치밀어 오르기에 아내에게 따질 요량으로 예배장소에 들어갔다. 그런데, 그는 자신도 모르게 들려오는 목사님의 설교에 은혜를 받기 시작했다. , 이상하다. 왜 이렇게 마음이 뜨거울까? 그것이 그가 신앙의 길로 접어들게 된 동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후, 그의 아이는 주님의 손길로 인해, 병이 나았다.

 

그렇게 점차, 은혜를 받게 되자, 이상하게 사업이 재미가 없었다. 접대다, 화투다, 술맛이 전혀 옛날 맛이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사업을 정리하고 하나님께 새로운 길을 열어달라고 기도를 하였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그에게 가구를 만드는 공장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셨다. 공장을 시작하면서 그는 목사님께 배운 대로 아침마다 공장에 나가서, 선포하였다.

 

예수 이름으로 공장은 잘 돌아가고 전 세계에서 주문이 몰려오라

 

그 기도가 이제 열매를 맺어 주문이 쏟아져 들어와 전 세계를 누비고 있다. 물론, 그 사이 많은 고난도 있었다. 믿었던 사람에게 사기를 당해 부도가 나기도 했지만, 모든 것을 용서하고 하나님께 맡기며 기도했더니, 그들이 오히려 오더를 갖다 주기도 하였다.

 

지난여름, 홍수가 공장을 덮쳐 기계에 물이 잠길 지경에 이르렀다. 조금만 더 물이 차면 지금까지 일구어 놓은 모든 것들이 그야말로 한순간에 물거품이 되고 말 그대로 위기의 순간이었다. 그런데 오히려 그의 마음은 알지 못하는 감사와 평안이 찾아오며 입술에 찬양이 흘러나왔다. 그는 감사하며 예수 이름으로 물이 멈추기를 간구했다. 그러자 정말 기적이 일어났다. 더 이상 기계에 물이 차지 않는 것이었다.

 

이 놀라운 체험이 그의 것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신앙생활을 하면서 경험한 일들이 그의 자산이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하나님이 자기에게 베풀어 주신 은혜를 생각하며, 이러한 신앙 고백을 하였다.

 

물질의 축복을 주신 것도 감사하지만 환난 중에 아내와 믿음 안에서 친구처럼 되었다는 것이 더 없이 감사할 뿐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성가대장의 직분을 맡았습니다. 저의 소망은 이제 하나님 나라에 있습니다. 맡은 직분 잘 감당하여 그 날에 충성된 종으로 칭찬 받기 원합니다.”

 

광야의 길을 걷게 하시며, 낮추실 때, 하나님을 찾는 은혜가 있기를 바란다. 정말, 찬송가 가사 그대로 예수 예수 믿는 것은 받은 증거 많도다.” 라는 간증이 자신의 삶에 있기를 소원하는 바이다. 사실, 요즘은 평신도들이 과거의 목사님들보다 신학적 지식이 더 많은 경우를 흔히 본다. 그러나 체험이 약하다. 이것이 약점이다. 이 약점을 인정하고 하나님께 간구하여야 하는데 오히려 체험적인 신앙의 위험을 강조하고 심지어 불필요성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지식을 강조한 유럽교회, 특별히 독일 교회를 보라.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삶에서 체험하지 못한 성도는 결코 영적 싸움에서 승리할 수가 없다. 체험적 신앙이 없으면 조금만 시험에 들어도 쉽게 교회를 떠난다. 기독교는 이론이 아니다. 체험의 신앙이다. 체험이 없이는 믿을 수가 없고,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마침내 네게 복을 주려하심이라.

 

어떤 분이 이런 간증을 하였다.

저는 내 남편이 내 것 인 줄 알았습니다. 제 것인 줄 알았는데, 그래서 남편이 선교사로 가겠다는 것을 안 된다고 하였습니다. 내 남편은 내 곁에서 수고하고 봉사하는 존재인 줄 알았습니다. 한 번도 좋은 남편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지 못했습니다. 다른 남편과 비교하여 내 남편이 무능하고 성격도 마음에 안 들어서 불평했습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고 없는 지금에야, 내 남편은 내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내 남편이 구한 것을 이제 알았습니다. 환자들이 팔 다리 당연히 있는 것인 줄 알고 소중한 줄 모르다가 그것을 잃어버리고 난 후에야 그것이 그렇게 소중한 것인 것을 깨달은 것처럼 저도 남편이 하나님 나라에 간 후에야 소중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 건강, 직책, 지위나 돈 전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하나님이 도로 거두어 가시면 아무 것도 아니다. 사울은 불행히도, 다윗과 같은 험한 연단이 없었기 때문에, ‘왕의 자리가 얼마나 귀한지를 몰랐다.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는 것과 하나님 앞에 인정을 받는 것 중에서 어떤 것이 더 소중한지를 몰랐던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께 버림받고, 우울증을 앓으며 마침내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비참한 생애를 살았던 것이다.

 

이에 반하여 다윗은 세상적인 기준으로 볼 때는 불행하기 이를 데 없는 모습이었다. 다윗은 사랑하는 사람들, 심지어 가정조차도 내버려 준채 길을 떠나야만 했다. 그것도 도무지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달랑 오늘 먹을 것조차 챙기지 못한 채, 급하게 내몰리면서 도피생활을 시작해야만 했다. 다윗은 빈털터리로 왕이 되는 약속의 길을 떠났던 것이다.

 

수많은 사울의 계략들, 사람들의 배신, 힘들고 어려운 시간들, 도저히 헤어 나올 수 없을 것만 같았던 위기의 순간들이 다윗의 잔뼈를 굵게 만들었다. 다윗의 인생은 약속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 말고는 온통 눈물 젖은 빵으로만 연명되었고, 긴장감으로 간담이 녹아드는 일촉즉발의 시간들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혹독한 연단과 훈련의 기간을 거쳐 우리가 알고 있는 다윗으로 성장했다.

 

마침내, 다윗이 받은 축복은 역사상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어마어마한 것들이었다. 부산 수영로교회의 정필도 목사님의 설교를 듣는 도중, 그분은 이러한 말씀을 하였다. “다윗, 그는 역사상 제일 부자이다.” 사실이건, 아니건 간에 그 정도로 큰 은혜를 입었다.

 

다윗의 축복이 얼마나 대단한 지에 하였는지는 관해, 나는 몸소 피부로 느끼고 있다. 다윗은 하나님께 헌금만 ‘1가 넘는 것을 드렸다. 1억이 아니다. 100억도 아니고 ‘1이다. 나는 매주일 주일헌금으로 ‘5만원을 작정하여 드리는데. 세상에나. 다윗은 이게 뭔 은혜인지. 더군다나, 다윗은 뭔 놈의 일군이 이렇게 많은지, 역대기에 따르면, 다윗은 문지기만 해도 4,000명이다. 여자 혼자 개척을 하니, 온갖 이상한 사람들이 다 와서 행패를 부리는데, 정말, 나도 교회수위가 있었으면 좋겠다. 그뿐만이 아니다. 성경에 따르면, 다윗은 교회행정을 보는 사람만 20,000명이 넘는다. 어떤 목사님은 혼자 교회 사찰에, 교회심방에, 행정에, 전도에, 몸이 열 개라도 모자라는데.

 

그 중의 이만 사천 명은 여호와의 성전의 일을 보살피는 자요. 육천 명은 관원과 재판관이요. 사천 명은 문지기요. 사천 명은 그가 여호와께 찬송을 드리기 위하여 만든 악기로 찬송하는 자들이라.” (역대상 23: 4-5)

 

하나님은 이렇게 다윗만 편애하시는 걸까? 결코 아니다. 하나님은 인생으로 하여금 고생하며 근심하게 하심이 본심이 아니라고 하였다.(3:23) 그렇다면 하나님은 왜 이렇게 우리를 주리게 하고, 낮추시는 것일까?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복을 주고 싶어서라는 것이다.

 

네 열조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광야에서 네게 먹이셨나니 이는 다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마침내 네게 복을 주려 하심이었느니라.”(8;16)

 

신명기 8장에는 우리에게 주실 복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젖과 꿀이 흐르는 그 땅에 관하여 이야기 해 주신다. 아름다운 땅, 골짜기든지, 산지든지 시내와 분천과 샘이 있는 땅, 각종 과일이 풍성하고 각종 자원이 풍성한 땅, 한 마디로 아무 부족함이 없는 땅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거기에 하나님의 노파심이 나온다. ‘너희들이 잘 살게 될 때 마음이 교만해져서 여호와를 잊어버릴까봐’(14), ‘내 힘으로 이렇게 많은 재물 얻을 능을 얻었다(17)’라고 잘난체 할까봐 걱정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모세는 옥토, 아름다운 땅, 부족함이 없는 풍성한 땅에서 감사하며, 하나님을 찬송하는 백성을 만들기 위해서 40년을 광야에서 지내게 하였다고 말한다.

 

정말로, ‘눈물을 흘리며 빵을 먹어 본 사람이 인생의 소중함을 안다. 자신이 가난해 보니, 예전에는 그냥 지나치던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다시금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겨울에 난방을 제대로 못하니, 독거노인들의 심정도 헤아려 보게 되고, 추운 날 청소해 주시는 청소부 아저씨의 수고도 다시금 되돌아보게 된다. 작은 것 하나 하나가 귀한 은혜로 다가오는 것이다. 고생은 하지 않고, 축복만 바라는 것은 잘못이다. 홀로 서 있게 되고, 시련의 사건에 부딪혔을 때 이것이 내게 주신 선물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광야 40년은 우리에게 귀한 연단의 시기이다. 겸손을 배우고, 그리스도인으로서 헌신의 삶을 위해 강한 훈련을 받고, 하나님만 붙잡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귀한 배움의 시간들이다. 이스라엘이 강한 것은 많은 고통을 당했기 때문이고, 이스라엘이 강한 것은 남보다 더 많은 시련을 겪었기 때문이다. 이 시련이란 선물 속에 하나님의 사랑이 있고, 하나님의 지혜가 있고, 하나님의 내게 향한 능력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자. 지금의 고난은 장차 받을 영광과 족히 비교할 수 없다.

 

주님, 광야를 지나며 온전히 하나님의 말씀으로 사는 법이 체질화되게 하옵소서. 예수이름으로 기도를 올려드립니다. 아멘